삼국지

삼국지 장수 능력치 총정리 (한, 위, 촉, 오, 기타 세력)

threekingdoms 2025. 3. 17. 20:23
반응형

한나라, 위나라, 촉한, 오나라뿐만 아니라 황건적, 공손씨, 원소 세력 등 다양한 세력의 주요 장수들을 무력, 지력, 통솔력, 정치력, 카리스마 다섯 가지 핵심 능력치로 분석하여 현대적 관점에서 수치화했습니다.

이 분석은 사마휘의 '삼국지', 진수의 '삼국지연의', 다양한 역사서, 그리고 현대 역사학자들의 연구를 종합하여 각 장수의 실제 전투 성과, 전략적 결정, 부하 관리 능력 등을 고려해 도출한 것입니다. 물론 2,000년 전 인물들의 능력을 현대적 수치로 완벽하게 환산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상대적 비교를 위한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능력치 평가 기준

각 능력치는 0~100점 사이의 값으로 평가했으며,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무력(武力): 개인 전투 능력, 무예 실력, 체력, 실제 전장에서의 성과
  • 지력(智力): 전략적 사고력, 지식 수준, 문제 해결 능력, 지략
  • 통솔력(統率力): 군대를 지휘하는 능력, 대규모 작전 수행 능력
  • 정치력(政治力): 행정 능력, 외교적 수완, 내정 관리 능력
  • 카리스마(魅力): 타인을 설득하고 따르게 만드는 능력, 리더십의 자질

한나라(後漢) 및 동탁 세력 주요 장수 능력치

이름 무력 지력 통솔력 정치력 카리스마 특기
여포(呂布) 100 40 75 25 70 기마전, 단독전, '인중여호'
동탁(董卓) 75 60 80 40 30 위압통치, 잔혹함
이각(李傕) 85 50 75 30 40 돌격전, 기마전
곽사(郭汜) 82 48 73 30 38 기습전, 약탈전
장제(張濟) 80 55 70 45 50 유격전, 약탈전
번쾌(樊噲) 88 50 65 30 60 근접전, 충성심
화웅(華雄) 87 45 70 30 50 단독전, 위압감
왕윤(王允) 30 90 60 95 85 모략, 정치
장양(張讓) 40 75 50 85 60 궁정 정치, 음모
하진(何進) 65 50 70 65 60 권력 정치, 군사력
덕종(덕숭, 德崇) 35 60 45 80 50 궁정 정치, 환관
장란(張蘭) 75 55 70 45 55 호위, 충성심
조중(趙忠) 40 70 50 80 55 궁정 정치, 환관
저수(褚燧) 80 60 75 50 65 근접전, 충성심
이유(李儒) 40 88 65 80 60 모략, 계책

한나라 및 동탁 세력 능력치 분석

한나라 말기와 동탁 세력의 장수들은 대체로 무력은 높지만 지력과 정치력이 부족한 경우가 많았습니다. 여포는 무력 면에서 삼국 전체를 통틀어 최고 수준으로 평가되지만, 정치력과 지력의 한계로 결국 몰락했습니다. 동탁은 잔혹함과 폭력적 통치로 높은 통솔력을 보였으나 카리스마와 정치력의 부재로 결국 반란을 촉발했습니다.

왕윤과 장양 같은 정치가들은 높은 지력과 정치력을 보였으나, 군사력 기반이 약해 결국 권력 투쟁에서 밀려났습니다.

황건적 및 기타 반란군 능력치

이름 무력 지력 통솔력 정치력 카리스마 특기
장각(張角) 45 85 90 75 95 종교 지도력, 대중 선동
장보(張寶) 70 70 85 60 80 종교 의식, 군중 통제
장량(張梁) 75 65 80 55 75 게릴라전, 신속 기동
파미(波才) 85 60 75 45 70 돌격전, 근접전
위굉(于洪) 80 55 70 40 65 방어전, 지구전
관승(管承) 65 75 65 65 70 정보전, 암살
장만성(張曼成) 75 60 70 50 75 게릴라전, 대중 동원
백상(白祥) 70 65 65 55 70 의술, 선동
마원의(馬元義) 60 80 70 65 75 조직력, 비밀 활동

황건적 및 기타 반란군 능력치 분석

황건적은 종교적 카리스마와 대중 동원력이 뛰어났으며, 특히 장각은 '태평도'라는 종교를 기반으로 강력한 카리스마와 통솔력을 발휘했습니다. 그러나 정규군과의 전투에서는 무력과 조직적 전투력에서 열세를 보였습니다.

황건적은 분산된 게릴라전과 민중의 지지를 기반으로 한 대규모 봉기에 성공했으나, 장기적인 전략과 정치적 비전의 부재로 결국 진압되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나라의 권위를 크게 실추시키고 쇠퇴를 가속화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공손씨 세력 및 기타 군벌 능력치

이름 무력 지력 통솔력 정치력 카리스마 특기
공손찬(公孫瓚) 85 75 82 70 75 기병전, 백마의 전설
공손탁(公孫度) 70 80 75 85 70 지역 정치, 독립 세력화
공손강(公孫康) 65 75 70 80 65 내정, 방어 정책
공손원(公孫淵) 75 70 75 75 65 해안 방어, 무역
도겸(陶謙) 60 85 75 90 85 덕치, 인재 등용
원술(袁術) 65 70 70 60 45 자만심, 사치
원소(袁紹) 70 80 85 85 80 인맥, 가문, 대규모 동원
장소(張邵) 75 70 75 65 70 충성심, 방어전
전풍(田豐) 45 95 65 85 70 전략, 예측
심배(沈珮) 60 85 70 80 65 행정, 내정
순유(荀諶) 40 90 60 85 75 책략, 조언
곽도(郭圖) 40 85 60 75 65 책략, 음모
허유(許攸) 45 90 65 80 70 계략, 변절
고간(高幹) 75 70 75 65 70 충성심, 기마전
장합(張郃) 89 85 87 70 75 기병전, 유격전
안량(顔良) 92 60 85 50 70 돌격전, 단독전
문추(文醜) 90 65 83 55 65 근접전, 결투

공손씨 세력 및 기타 군벌 능력치 분석

공손씨 세력과 원소, 원술 등의 군벌들은 각각의 지역에서 독자적인 세력을 형성했습니다. 특히 원소는 '사주(四州)'의 병력을 보유한 최대 군벌로, 정치력과 통솔력이 뛰어났으나 결정적 순간의 우유부단함이 약점이었습니다.

공손찬은 '백마의 의용군'으로 명성을 떨쳤으며, 도겸은 높은 정치력과 카리스마로 지역민의 지지를 받았습니다. 안량과 문추는 원소의 맹장으로 무력은 뛰어났으나, 결국 조조의 지략가들과 명장들에게 패배했습니다.

위나라(曹魏) 주요 장수 능력치

이름 무력 지력 통솔력 정치력 카리스마 특기
조조(曹操) 73 98 95 99 96 정치, 전략, 시문학
하후돈(夏侯惇) 95 70 85 60 75 맹장(猛將), 충성심
하후연(夏侯淵) 90 75 87 65 70 기마전, 속공
장료(張遼) 96 80 90 70 78 돌격전, 심리전
서황(徐晃) 94 82 88 65 75 방어전, 지구전
전위(典韋) 99 40 65 30 60 근접전, 호위
장합(張郃) 89 85 87 70 75 기병전, 유격전
사마의(司馬懿) 65 99 90 98 85 전략, 정치, 내통
조인(曹仁) 85 78 86 75 70 수성전, 방어전
조휴(曹休) 82 75 85 70 72 혼합전술, 균형형
조홍(曹洪) 80 65 75 60 65 충성심, 기본기
순욱(荀彧) 45 97 70 98 90 전략, 정치, 인재발굴
순유(荀攸) 40 98 72 85 78 전략, 계책
가후(賈詡) 50 99 75 90 80 심리전, 책략
정욱(程昱) 38 93 65 88 75 내정, 행정
곽가(郭嘉) 40 97 70 85 85 예측, 전략
만총(滿寵) 75 80 82 75 70 수비전, 내정
우금(于禁) 85 75 85 65 70 정규전, 훈련
조진(曹真) 80 78 85 70 72 균형형, 종합전술
악진(樂進) 86 70 80 60 70 돌격전, 충성심
조비(曹丕) 65 90 75 90 80 정치, 문학
조식(曹植) 60 95 65 85 90 문학, 예술
조예(曹叡) 60 88 80 88 85 정치, 안정성
조방(鮑鮑) 30 60 40 85 40 아첨, 환관정치
화웨(華歆) 40 90 60 95 70 법률, 행정
목우(牧于) 70 75 80 60 65 방어전, 기마전

위나라 장수 능력치 분석

위나라는 전반적으로 무력과 지력이 고루 갖춰진 장수들이 많습니다. 특히 조조가 인재 등용에 탁월했기 때문에 지력과 정치력이 높은 참모진을 많이 보유했습니다. 전위, 하후돈, 장료 같은 무장들의 무력은 삼국 전체에서도 손꼽히는 수준입니다.

사마의는 지력 면에서는 거의 모든 위나라 참모들보다 우수했으며, 정치적 능력도 탁월했습니다. 이러한 능력을 바탕으로 결국 위나라를 장악하고 진(晉)을 건국하는 밑바탕을 마련했습니다.

촉한(蜀漢) 주요 장수 능력치

이름 무력 지력 통솔력 정치력 카리스마 특기 
유비(劉備) 82 85 80 90 100 카리스마, 인맥 구축
관우(關羽) 97 80 85 60 90 기마전, 충성심
장비(張飛) 96 70 80 40 65 돌격전, 위압감
조운(趙雲) 96 83 84 75 85 돌격전, 호위, 균형형
마초(馬超) 95 70 83 65 80 기마전, 돌격전
황충(黃忠) 90 75 80 60 70 궁술, 경험
위연(魏延) 88 75 85 60 60 돌격전, 용맹함
제갈량(諸葛亮) 35 100 95 99 97 전략, 정치, 발명
방통(龐統) 40 96 80 85 80 전략, 책략
마량(馬良) 45 90 65 85 80 외교, 문학
황월영(黃月英) 30 98 60 75 70 발명, 전략
마대(馬岱) 85 65 75 60 65 기마전, 충성심
관평(關平) 85 75 70 65 70 충성심, 균형형
장송(張松) 40 88 60 80 65 정보, 내통
법정(法正) 40 93 65 90 75 행정, 법률
미축(糜竺) 30 85 55 90 80 재정, 보급
장완(蔣琬) 35 90 70 90 80 행정, 내정
비염(費廉) 40 85 60 85 70 외교, 정보
유보(劉封) 80 65 75 55 60 돌격전, 반항심
관흥(關興) 87 70 75 60 75 기마전, 충성심
장소(張苐) 86 70 75 60 70 돌격전, 용맹함
요자우(廖子午) 65 85 70 80 75 외교, 정보
마숙(馬謖) 60 85 70 65 70 이론, 학문
비첨(費禎) 35 90 60 85 75 내정, 행정
동윤(董允) 30 88 55 90 75 제도, 교육
어양(魚洋) 75 65 70 55 60 수비전, 충성심

촉한 장수 능력치 분석

촉한은 '오호대장군'으로 대표되는 무력 중심의 장수들이 특히 강점을 보입니다. 관우, 장비, 조운, 마초, 황충 모두 무력 면에서 최상위권에 속합니다. 제갈량은 지력과 정치력 면에서 삼국 최고 수준으로, 특히 선견지명과 전략적 사고 능력은 가히 천재적이었습니다.

유비는 카리스마 면에서 삼국 최고였으며, 이를 통해 뛰어난 인재들을 끌어모을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촉한은 상대적으로 제갈량과 방통, 법정 외에 지략가의 층이 얇았고, 오호대장군 외에 2선급 무장의 숫자가 부족했다는 점은 큰 약점이었습니다. 이로 인해 제갈량 사후 인재 부족 문제가 심화되었습니다.

오나라(孫吳) 주요 장수 능력치

이름 무력 지력 통솔력 정치력 카리스마 특기
손견(孫堅) 92 85 90 80 88 돌격전, 리더십
손책(孫策) 95 80 88 75 95 돌격전, 카리스마
손권(孫權) 85 90 90 95 90 정치, 지구전, 인재등용
주유(周瑜) 80 96 96 90 95 전략, 음악, 화계
노숙(魯肅) 65 92 80 90 85 외교, 조정
여몽(呂蒙) 85 92 88 85 80 학습능력, 성장성
황개(黃蓋) 82 85 85 70 75 해전, 희생정신
갈현(甘寧) 93 75 84 60 70 기습전, 돌격전
태사자(太史慈) 92 80 83 65 75 궁술, 기마전
주탁(朱桓) 85 80 85 75 70 방어전, 안정성
장숙(張粛) 84 82 83 70 72 균형형, 충성심
육손(陸遜) 70 97 90 90 85 전략, 화공
정봉(程普) 85 75 80 70 70 해전, 경험
손상향(孫尚香) 80 85 70 80 90 궁술, 정보수집
주란(周蘭) 83 70 78 65 70 해전, 기본기
손호(孫皓) 60 65 60 50 40 잔혹함, 의심
동희(董襲) 70 85 75 80 75 해전, 정보
손권(孫韶) 75 80 75 75 75 외교, 정보
전담(全琛) 60 90 70 85 75 내정, 행정
장무(張武) 85 65 75 55 65 돌격전, 충성심
고순(顧譯) 70 85 75 80 75 내정, 지역관리
진표(陳表) 75 80 80 75 70 해안방어, 군사훈련
범려(范瀨) 65 90 75 85 80 행정, 보급
주의(周異) 80 75 80 70 75 군사훈련, 해전
손권(孫匡) 75 70 70 65 70 돌격전, 충성심
장온(張溫) 60 85 70 80 75 내정, 외교
손개(孫愷) 70 75 75 70 70 방어전, 충성심

오나라 장수 능력치 분석

오나라는 전반적으로 능력의 균형이 잘 잡힌 장수들이 많습니다. 손견은 강동 지역에서 기반을 다졌으며, 그의 아들 손책은 '소패왕(小霸王)'이라 불릴 정도로 뛰어난 무력과 카리스마로 단기간에 오나라의 기반을 확장했습니다.

주유와 육손은 지력과 통솔력 모두 최상위권이었으며, 여몽은 처음에는 평범한 무장이었으나 학습과 성장을 통해 지력과 통솔력을 크게 향상시킨 독특한 사례입니다.

손권은 오랜 기간 왕위를 지키며 정치적 안정성을 유지했습니다. 오나라는 해전에 특화된 장수들이 많았으며, 이는 지리적 특성을 잘 활용한 결과였습니다.

삼국 최강 능력치 보유자 (분야별)

무력 TOP 5

  1. 여포(呂布) - 100점: '인중여호(人中呂布)'라 불린 당대 최고의 무장으로, 적벽대전 이전 모든 결투에서 무적의 기록
  2. 전위(典韋) - 99점: '인간 호랑이'라 불린 조조의 호위무사로, 맨손으로도 적군을 물리치는 괴력의 소유자
  3. 관우(關羽) - 97점: 청룡언월도와 함께 '천하제일의 무인'으로 불린 장수
  4. 장료(張遼) - 96점: 합비전투에서 소수의 병력으로 대군을 물리친 전설적인 장수
  5. 장비(張飛) - 96점: 장판교에서 외침 한 번으로 조조군을 물리친 맹장

지력 TOP 5

  1. 제갈량(諸葛亮) - 100점: '와룡(臥龍)'이라 불린 천재 전략가
  2. 사마의(司馬懿) - 99점: '중산상구'라 불리며 제갈량과 대결한 지략가
  3. 가후(賈詡) - 99점: '이십사계'로 유명한 전략가
  4. 황월영(黃月英) - 98점: 제갈량의 아내로, 뛰어난 발명가이자 전략가
  5. 순유(荀攸) - 98점: 조조의 '지략의 귀재'

통솔력 TOP 5

  1. 주유(周瑜) - 96점: 적벽대전의 총지휘관
  2. 제갈량(諸葛亮) - 95점: 북벌과 남만정벌을 성공적으로 이끈 총사령관
  3. 조조(曹操) - 95점: 대규모 전투를 여러 차례 지휘한 명장
  4. 손권(孫權) - 90점: 50년 넘게 오나라를 통치한 안정적 군주
  5. 사마의(司馬懿) - 90점: 장기적 관점에서 군사를 운용한 전략가

정치력 TOP 5

  1. 조조(曹操) - 99점: 한나라 말기의 혼란을 수습하고 위나라의 기틀을 다진 정치가
  2. 제갈량(諸葛亮) - 99점: 오장원으로 촉한의 행정체계를 혁신한 정치가
  3. 왕윤(王允) - 95점: 동탁을 제거하는 계략을 성공시킨 정치가
  4. 손권(孫權) - 95점: 50년 넘게 오나라를 통치한 안정적인 군주
  5. 순욱(荀彧) - 98점: 조조의 정치적 조언자로 위나라의 제도를 설계

카리스마 TOP 5

  1. 유비(劉備) - 100점: 삼고초려로 제갈량을 영입하고 수많은 인재들을 끌어모은 군주
  2. 제갈량(諸葛亮) - 97점: 남만족까지 감화시킨 인품의 소유자
  3. 조조(曹操) - 96점: 시인이자 군주로서 인재들을 매료시킨 리더
  4. 주유(周瑜) - 95점: 뛰어난 용모와 음악적 재능으로 사람들을 매료시킨 장수
  5. 장각(張角) - 95점: 종교적 카리스마로 수십만의 신도를 모은 지도자

세력별 최강 장수 분석

한나라 및 동탁 세력 최강자

  • 무력: 여포(呂布) - 100점
  • 지력: 왕윤(王允) - 90점
  • 통솔력: 동탁(董卓) - 80점
  • 정치력: 왕윤(王允) - 95점
  • 카리스마: 왕윤(王允) - 85점

황건적 및 반란군 최강자

  • 무력: 파미(波才) - 85점
  • 지력: 장각(張角) - 85점
  • 통솔력: 장각(張角) - 90점
  • 정치력: 장각(張角) - 75점
  • 카리스마: 장각(張角) - 95점

공손씨 및 군벌 최강자

  • 무력: 안량(顔良) - 92점
  • 지력: 전풍(田豐) - 95점
  • 통솔력: 원소(袁紹) - 85점
  • 정치력: 도겸(陶謙) - 90점
  • 카리스마: 원소(袁紹) - 80점

위나라 최강자

  • 무력: 전위(典韋) - 99점
  • 지력: 사마의(司馬懿) - 99점
  • 통솔력: 조조(曹操) - 95점
  • 정치력: 조조(曹操) - 99점
  • 카리스마: 조조(曹操) - 96점

촉한 최강자

  • 무력: 관우(關羽) - 97점
  • 지력: 제갈량(諸葛亮) - 100점
  • 통솔력: 제갈량(諸葛亮) - 95점
  • 정치력: 제갈량(諸葛亮) - 99점
  • 카리스마: 유비(劉備) - 100점

오나라 최강자

  • 무력: 갈현(甘寧) - 93점
  • 지력: 육손(陸遜) - 97점
  • 통솔력: 주유(周瑜) - 96점
  • 정치력: 손권(孫權) - 95점
  • 카리스마: 주유(周瑜) - 95점

특수 능력치 분석

응변력 최강자 TOP 3

  1. 제갈량(諸葛亮) - 99점: 마동 설전, 천문 논쟁 등 수많은 논쟁에서 승리
  2. 조조(曹操) - 95점: 위급 상황에서의 판단력과 임기응변 능력 탁월
  3. 육손(陸遜) - 93점: 이릉 전투에서의 전격적인 화공전 전환

충성도 최강자 TOP 3

  1. 관우(關羽) - 100점: '천하제일의 의리'로 불릴 정도로 유비에게 충성
  2. 조운(趙雲) - 99점: 일생을 유비와 그 가문에 바친 충신
  3. 전위(典韋) - 98점: 목숨을 바쳐 조조를 지킨 호위무사

혁신성 최강자 TOP 3

  1. 제갈량(諸葛亮) - 100점: 목우유마, 연환계 등 다양한 발명품과 전략 개발
  2. 황월영(黃月英) - 95점: 기계장치, 농업기술 등 실용적 발명
  3. 조조(曹操) - 90점: 토지제도 개혁, 군사 시스템 혁신

인재 발굴 능력 최강자 TOP 3

  1. 조조(曹操) - 100점: '천하의 영웅은 모두 내 안에 있다'는 말처럼 다양한 인재 등용
  2. 유비(劉備) - 95점: 관우, 장비부터 제갈량까지 핵심 인재들을 끌어모음
  3. 손권(孫權) - 90점: 주유, 노숙, 여몽, 육손으로 이어지는 인재 계보 구축

종합 분석 및 결론

삼국 시대의 장수들을 능력치로 비교해보면 각 세력별로 뚜렷한 특징이 드러납니다:

  1. 한나라 및 동탁 세력: 무력은 뛰어나지만 정치적 안정성과 지략이 부족했고, 결국 분열과 몰락
  2. 황건적 및 반란군: 종교적 카리스마와 민중 동원력은 강했으나 정규 전투력과 장기 전략이 부족
  3. 공손씨 및 군벌: 지역적 기반은 강했으나 전국적 통합 비전과 리더십 부재
  4. 위나라: 지력과 정치력을 갖춘 참모진이 두텁고, 무력 높은 장수들도 다수 보유. 특히 조조의 인재 등용 정책으로 균형 잡힌 인재 구성
  5. 촉한: 최고 수준의 무장들(관우, 장비, 조운, 마초, 황충)과 제갈량이라는 천재 전략가 보유. 유비의 뛰어난 카리스마로 인재 결집. 하지만 제갈량 외에 지략가의 층이 얇고, 오호대장군 외에 2선급 무장이 상대적으로 부족하여 인재의 균형과 후계구조에 약점
  6. 오나라: 해전에 특화된 장수들과 학습 능력이 뛰어난 인재들 보유. 주유, 노숙, 여몽, 육손으로 이어지는 지략가 계보가 안정적

각 세력별로 강점과 약점이 있었지만, 당시 전략적 상황과 지리적 조건을 고려할 때 모두 나름의 경쟁력을 갖추고 있었습니다. 위나라는 병력과 영토, 오나라는 지리적 방어력, 촉한은 인재의 충성도 면에서 각각 우위를 점했습니다.

결국 삼국 시대의 승패는 단순한 장수들의 개인 능력치만으로 결정되지 않았으며, 시대적 상황과 외부 환경, 그리고 운명의 변수가 복합적으로 작용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참고 자료

이 능력치 평가는 다음 자료들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

  1. 사마휘의 '삼국지'
  2. 진수의 '삼국지연의'
  3. 범엽의 '후한서'
  4. 채옹의 '동한연의'
  5. 현대 역사학자들의 삼국시대 연구 자료
  6. 각종 게임 및 미디어에서 표현된 삼국지 인물 능력치 참조(삼국지 시리즈 게임, 삼국지 관련 TV 드라마 등)

물론 이 능력치는 역사적 기록과 현대적 해석을 바탕으로 한 상대적 비교 수치이며, 절대적인 평가는 아님을 다시 한번 말씀드립니다. 각자의 의견과 해석에 따라 다른 평가가 가능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