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일본의 NISA 완벽 가이드

threekingdoms 2025. 5. 16. 09:49
반응형

NISA는 일본 정부가 개인 투자를 장려하기 위해 만든 세금 우대 투자 제도입니다. 일본의 자산 형성 문화를 활성화하고 '저축에서 투자로'의 전환을 촉진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입되었습니다. 이 글에서는 NISA의 개념부터 최신 개정사항까지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NISA란 무엇인가?

NISA는 일본 정부가 개인 투자를 장려하기 위해 만든 세금 우대 투자 제도입니다. 이름은 영국의 ISA(Individual Savings Account)를 모델로 하여 지어졌지만, NISA 자체는 약어가 아니라 일본 고유의 명칭입니다. 이 제도를 통해 일본 거주자들은 지정된 한도 내에서 주식, 투자 신탁 등에 투자하여 발생하는 배당금과 자본 이득에 대해 세금을 면제받을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주식이나 투자신탁 등 금융상품에 투자한 경우, 이를 매각하여 얻은 이익이나 받은 배당에 대해 20%의 세금이 부과되지만, NISA 계좌에서 투자한 금융상품에서 얻은 이익은 비과세 혜택이 주어집니다.

NISA의 역사

NISA는 2014년에 처음 도입되었으며, 이후 여러 차례 개정되었습니다. 가장 최근의 대대적인 개정은 2024년 1월에 이루어졌으며, '신NISA'라고도 불립니다.

NISA의 주요 특징

  1. 세금 면제: NISA 계좌를 통한 투자에서 발생하는 배당금 및 자본 이득에 대해 세금이 면제됩니다.
  2. 투자 한도: 2024년 개정된 신NISA에서는 연간 투자 한도가 확대되었습니다.
  3. 투자 기간: 투자 기간에 제한이 없어졌습니다(영구화).
  4. 대상 상품: 주식, ETF, 투자 신탁 등 다양한 금융 상품이 대상입니다.
  5. 1인 1계좌: NISA 계좌는 복수 개설할 수 없고, 모든 금융기관을 통해 1인 1계좌만 개설 가능합니다. 금융기관의 변경은 연 단위로 가능합니다.

신NISA(2024년 개정) 주요 변경사항

2024년 1월부터 시행된 신NISA의 주요 변경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투자 유형 통합 및 한도 확대

  • 투자 유형: 기존의 일반 NISA와 적립 NISA가 '성장 투자와쿠(成長投資枠, 투자 한도 구간)'와 '적립 투자와쿠(つみたて投資枠, 투자 한도 구간)'으로 재편되었습니다.
  • 연간 한도: 성장 투자와쿠는 연간 최대 240만 엔, 적립 투자와쿠는 연간 최대 120만 엔으로, 두 한도를 합쳐 연간 최대 360만 엔까지 투자 가능합니다.
  • 총 한도: 성장 투자와쿠 1,200만 엔, 적립 투자와쿠 600만 엔으로, 생애 통합 한도는 1,800만 엔입니다.
  • 한도 이월: 신NISA에서는 사용하지 않은 투자 한도는 다음 해로 이월되지 않으므로, 매년 계획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한도 재사용: NISA로 투자한 상품을 팔면 처음 투자한 금액만큼 다음 해에 다시 비과세 한도로 투자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100만 엔 투자한 상품을 팔면, 수익이 나든 손해를 보든 관계없이 다음 해에 100만 엔을 다시 비과세로 투자할 수 있습니다.

2. 투자 기간 영구화

  • 기존 NISA는 투자 기간이 제한되어 있었으나, 신NISA에서는 이 제한이 폐지되어 영구적인 제도가 되었습니다.
  • 보유 기간에 관계없이 비과세로 운용이 가능해져, 비과세 보유 기간을 신경 쓰지 않고 장기 투자를 하기 쉬워졌습니다.

3. 대상 상품 조정

  • 성장 투자와쿠: 모든 상장 주식, ETF, REIT, 일부 투자 신탁 등 더 폭넓은 금융 상품에 투자 가능
  • 적립 투자와쿠: 금융청이 지정한 장기 분산 투자에 적합한 일부 투자 신탁만 투자 가능 (개별 주식, ETF 등은 투자 불가)
  • 2024년부터는 적립 투자와 성장 투자를 병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즉, 적립 투자를 계속하면서 성장 투자 한도에서 개별 종목에 일괄 투자하는 것이 가능해졌습니다.

외국인의 NISA 이용 가능 여부

일본에서 기술 비자나 기타 일반 비자를 가지고 있는 외국인도 NISA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NISA 계좌 개설을 위한 주요 요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주민표(住民票): 일본에 주민표가 등록되어 있어야 합니다.
  2. 마이넘버(My Number): 일본의 사회보장 및 세금 번호인 마이넘버가 있어야 합니다.
  3. 거주 요건: 일본에 거주하는 18세 이상의 개인이어야 합니다.
  4. 계좌 제한: 1인당 1계좌만 개설 가능하며, 연 1회 금융기관 변경이 가능합니다.

외국인의 경우, 주민표에 등록되어 있고 마이넘버 카드나 통지서를 소지하고 있다면 NISA 계좌를 개설할 수 있습니다. 단, 금융기관에 따라 추가적인 요건(예: 일본어 능력, 체류 기간 등)이 있을 수 있으므로, 계좌 개설 전에 해당 금융기관에 문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주의할 점은 일본을 떠날 경우, '非課税口座継続届出書(비과세계좌계속신고서)'를 제출하면 최대 5년간 계좌 유지가 가능하나, 이 기간 중 신규 투자(추가 입금)는 불가합니다. 5년 후에는 일반 계좌로 전환되어야 하며, 이 과정에서 세금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장기적인 체류 계획이 있는 외국인에게 더 적합한 제도입니다.

NISA와 iDeCo 비교

NISA와 함께 일본의 대표적인 세금 우대 제도로는 iDeCo(개인형 확정 기여 연금)가 있습니다. 두 제도의 주요 차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NISA iDeCo

목적 일반 자산 형성 노후 대비
세금 혜택 운용 수익 비과세 납입 시 소득공제, 운용 수익 비과세, 수령 시 세금 우대
인출 제한 없음 (자유롭게 인출 가능) 원칙적으로 60세 이전 인출 불가
연간 한도 성장: 240만 엔, 적립: 120만 엔, 합산 360만 엔 직업 유형에 따라 144,000~816,000엔 (예: 회사원: 연간 276,000엔, 자영업자: 816,000엔 등)
가입 연령 18세 이상 20~65세 미만

NISA 활용 전략

초보 투자자를 위한 전략

  • 적립 투자와쿠를 활용한 적립식 투자로 시작
  • 분산 투자가 잘 이루어진 투자 신탁 선택
  • 장기적인 관점으로 투자
  • 인기 상품으로는 eMAXIS Slim 全世界株式(전세계주식) 등이 있음

경험 있는 투자자를 위한 전략

  • 성장 투자와쿠를 최대한 활용
  • 개별 주식과 ETF를 포트폴리오에 포함
  • 글로벌 분산 투자 고려

NISA 시작하는 방법

  1. 금융 기관 선택: 증권사, 은행 등 NISA 계좌를 제공하는 금융 기관 선택
    • 라쿠텐 증권, SBI 증권, 노무라 증권 등 다양한 금융기관에서 NISA 계좌를 제공합니다.
  2. 계좌 개설: 필요 서류 제출 및 NISA 계좌 개설
    • 본인확인서류(마이넘버 카드 등) 제출이 필요합니다.
    • 대부분의 증권사는 스마트폰 앱을 통해 온라인으로 간편하게 계좌 개설이 가능합니다.
  3. 투자 계획 수립: 자신의 재정 상황과 목표에 맞는 투자 계획 수립
  4. 투자 시작: 선택한 금융 상품에 투자 시작
    • 적립투자의 경우, 신용카드 결제로 자동 적립하는 방식도 있습니다(예: 라쿠텐 증권의 クレカ積立).
    • 월 정액 투자로 달러 코스트 애버리징 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

결론

NISA는 일본 정부가 국민들의 자산 형성을 지원하기 위해 제공하는 훌륭한 투자 제도입니다. 2024년의 개정으로 더욱 매력적인 제도로 변모하였으며, 장기적인 자산 형성을 위한 핵심 도구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외국인 거주자도 특정 조건을 충족하면 이용 가능하므로, 일본에 장기 체류 계획이 있는 외국인에게도 좋은 투자 옵션이 될 수 있습니다.

투자는 항상 위험을 수반하므로, 전문가와 상담하고 충분한 연구를 통해 자신에게 맞는 투자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